강화순무 블로그

강화군 소개

강화군 광광안내도

특산물

  • 화문석: 왕골을 건조하여 자리를 엮은 것으로 주로 가내 수공업 형태로 이루어진다. 1980년대에는 생산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농가 부수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현재는 수요의 감소로 일부 전문 생산자들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 인삼: 20세기초에 개성에서 재배기술이 도입되어 전파된 인삼은 그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 한때는 전국 생산량의 40% 이상을 차지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재배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다.
  • 순무: 강화에서만 생산되는 무로 19세기 프랑스로부터 전파되었다. 순무김치는 일반 무김치에 비하여 단맛이 도는 독특한 식품으로 타지에서 수요가 늘어 상품으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교통

조선시대 이전에는 주요 교통 수단이 뱃길이었으나 1970년 강화대교가 개통되면서 육상교통이 발달하게 되었다.

도로

고속도로는 지나지 않으며 일반 국도 1개 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1개 노선이 강화군을 지나고 있다. 과거 경기도에 속할 때는 지방도 제348호선과 같이 지방도 노선도 존재하였으나 1995년 3월 인천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지방도는 모두 폐지되었다.

  • 국도 제48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항구

한국 전쟁 이후 북한과 인접한 관계로 수산업이 제한되어 항구가 쇠퇴하였고 강화대교 개통 이후에는 여객 이용마저 줄어 현재에는 2개항 정도가 소규모로 운영된다.

  • 어항(여객항을 겸함):외포리(석모도 행), 창후리(교동도 행)

다리

1970년 강화대교가 건설된 이후 연륙교(連陸橋)와 연도교(連島橋)가 지속적으로 계획 건설되고 있다

  • 연륙교 : 강화대교(통행금지), 신(新)강화대교, 강화초지대교, 강화도-개성간 연륙교(계획중) 교동도-연안간 연륙교 (계획중)
  • 연도교 : 교동대교, 석모대교, 영종-강화 연도교(기공식은 가졌으나 답보상태)

버스

  • 시내버스 : 강화군의 시내버스
  • 시외버스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군청

  • 현재 강화군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위치하고 있다.
    • 군수실
    • 부군수실
    • 민원담당감사관
    • 기획행정복지국

직속기관 및 사업소

교육 기관

  • 사립대학교
  • 고등학교

스포츠

  • SK퓨처스파크 – SK 와이번스 2군 홈구장

문화·관광

  • 교동도

강화 창후리 선착장에서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교동도행 여객선이 떠난다. 밀물 때는 15분, 썰물 땐 50분 걸린다. 3200여명이 사는 작은 섬에 교회가 12개나 된다.

  • 강화산성(江華山城) 사적 제132호
  • 삼랑성(三郞城) 사적 제130호
  • 강화 고려궁지 사적 제133호
  • 성공회 강화성당 사적 제424호
  • 마니산
  • 화도면 장화리 일대의 너른 갯벌은 사진작가들에게 멋진 일몰 촬영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동막해변과 이어지는 아름다운 갯벌 중 하나이자 서해 3대 일몰 촬영지이다. 밀물 때는 잔잔한 수면 위를, 썰물 때는 넓게 펼쳐진 갯벌을 온통 붉게 물들이는 부드럽고 장엄한 색조가 인상적이다.
  • 영화관이 없던 곳에 강화군이 강화문예회관 2층에 91석(장애인석 2석 포함/89석 일반석) 2015년 2월에 개관한 강화작은영화관이 있다. 현재 15만이상 다녀갔다 앞으로 20만까지 관람객을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축제

  • 강화 고인돌 문화 축제: 하점면 부근리 고인돌 유적지와 읍에서 가을에 열린다. [1]
  • 진달래 축제: 매년 봄 고려산 일대에서 열린다. 부정기적 휴식년이 있다.
  • 강화도 새우젓 축제: 매년 내가면 외포리 외포항에서 가을에 열린다. [2]
  • 단군대제:
  • 춘계석전대제: 강화향교, 교동향교에서 여는 유교행사
  • 추계석전대제: 상동

자매 도시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천구
    • 전라남도 진도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경상남도 남해군
  • 일본
    • 후쿠오카현 소에다정
  • 중국
    • 저장성 저우산 시

각주

외부 링크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강화군청
  • 강화교육지원청
  • 강화군 1읍 12면의 지명 유래